즐겨찾기
관련사이트
소망교회
소망카페
소망블로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김지철 목사 페이스북
로그인
회원가입
소개
인사말
목회철학
프로필
설교
묵상
새벽묵상
영상메시지
참회의 기도
설교요약클립
아티클
논문
설교문
에세이
컬럼
저서
강해
영적성장
부부생활
기타
갤러리
페이스북
소개
인사말
목회철학
프로필
설교
묵상
새벽묵상
영상메시지
참회의 기도
설교요약클립
아티클
논문
설교문
에세이
컬럼
저서
강해
영적성장
부부생활
기타
갤러리
페이스북
KIMJICHUL ARCHIVE
태그검색
홈
태그검색
검색결과
태그검색
새창열기
듣고 질문하라
18-12-12
3,708
0
18-12-12
사흘 후에 성전에서 만난즉 그가 선생들 중에 앉으사 그들에게 듣기도 하시며 묻기도 하시니 듣는 자가 다 그 지혜와 대답을 놀랍게 여기더라 (누가복음 2:46~47)
새창열기
새창열기
베드로(3),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
19-01-25
19,340
0
19-01-25
예수님에 대한 많은 칭호와 정의가 있습니다.‘예수님은 누구이신가?’라는 질문은, 우리가 예수님을 믿기 전부터 던진 물음이었고, 그분을 믿으면서도 끊임없이 반복하는 질문입니다. “당신은 누구입니까?” 이천 년 전에 갈릴리 나사렛 출신의 예수님이 등장할 때도 사람들이 이와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와 동시에 예수님을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그 평가는 양극단이었습니다.아마 그분처럼 각양각색의 칭호를 얻으신 분도 없을 것입니다. “당신은 미친 사람이다…
새창열기
새창열기
무엇을 찾느냐? - 예수님의 질문 1 -
18-12-12
5,480
0
18-12-12
사람은 질문하며 살아가는 존재입니다. 사람이 자기의 삶을 변화시키기를 원한다면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교육의 방법은 비슷합니다. 바로 질의응답입니다. 소크라테스는 수많은 질문을 퍼부으며 대화하는 산파술을 사람들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공자도 계몽적인 질문 교육법을 통해서 제자들을 양육했습니다. 이들의 공통적인 교육법은 끊임없이 묻고 대답하는 것이었습니다. 즉 스스로 얼마나 무지한지, 얼마나 어리석은지…
새창열기
새창열기
인생이 헛되다는 것은? - 전도서의 질문 1 -
18-12-12
6,131
0
18-12-12
전도서는 인생의 헛됨을 이야기합니다.2015년이 시작된 지 벌써 두 달이 지나고 있습니다. 오늘은 2월의 마지막 주일입니다. 문득문득 전도서 기자가 말한 것처럼 ‘아, 인생 참 무상하네.’ 이렇게 속으로 외치고 있지는 않습니까? 우리는 때로 인생이란 정말 헛되고 헛된 것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이렇게 속절없이 삶이 흘러가는 건 아닌지 스스로에게 묻게도 됩니다.전도서의 시작도 그렇습니다. 전도서는 시작부터 이렇게 기록하고 있습니다.전도자가 이…
새창열기
새창열기
나는 때를 아는 사람인가? - 전도서의 질문 2 -
18-12-12
6,043
0
18-12-12
나라 사랑을 몸으로 실천한 믿음의 선배들이 있습니다.오늘은 3월 1일, 삼일절입니다. 1919년 3월 1일 독립운동을 시작했던 날로부터 96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먼저 삼일절에 관련된 짧은 영상을 하나 보겠습니다. - 영상 -우리 신앙의 선배들이 자랑스럽습니다. 당시 기독교인은 전체 인구의 1.3%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삼일운동에 가담한 사람들 중 기독교인의 비중은 30~40%에 이르렀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하나님 사랑을 나라 사랑과 연결했다는…
새창열기
새창열기
나는 좋은 친구인가? - 전도서의 질문 3 -
18-12-12
7,386
0
18-12-12
더불어 살 때, 사람은 진정한 사람이 됩니다.우리 말 중 좋은 단어 세 가지를 들자면 뭐가 있을까요? 많은 것이 있겠습니다만, 그중에서도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3장에서 언급한 ‘믿음, 소망, 사랑’이 먼저 떠오릅니다. 그런데 사도 바울은 마지막에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고 우리에게 가르치고 있습니다.인생에서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일까요? 때로 우리가 비판도 하고, 분노를 느끼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만큼 소중하고 복된 것이 또…
새창열기
새창열기
초상집과 잔칫집 - 전도서의 질문 4 -
18-12-12
6,177
0
18-12-12
우리는 ‘작은 죽음’을 경험하며 삽니다.살아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우리는 매일 그 사실을 확인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심장이 뛰고, 호흡을 하고는 있지만, 우리는 살면서 작은 죽음을 수없이 경험합니다. 본래 죽음이란 아무도 경험한 적이 없는 것 아닙니까? 죽음이 찾아온 순간 그 누구도 다시 돌이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리셋(reset)이 안 되는 것이 죽음입니다. 누군가의 말처럼 인생이란 왕복 티켓이 없다는 것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
새창열기
새창열기
청년의 때에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 - 전도서의 질문 5 -
18-12-12
5,001
0
18-12-12
삶을 포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2013년에 서울시에서 사람들의 사망 원인에 대한 조사를 했습니다. 그 결과, 10대부터 30대까지는 자살이 가장 많았습니다. 10대 사망자 중 35.1%, 20대 사망자 중 51.6%, 30대 사망자 중 39.7%가 자살로 생명을 끊었습니다. 그리고 40대 이상부터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진 암이 사망 원인 1위였습니다.10대, 20대, 30대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라는 것이 참 마음 아픕니다. 생명으로 충…
새창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