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관련사이트
소망교회
소망카페
소망블로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김지철 목사 페이스북
로그인
회원가입
소개
인사말
목회철학
프로필
설교
묵상
새벽묵상
영상메시지
참회의 기도
설교요약클립
아티클
논문
설교문
에세이
컬럼
저서
강해
영적성장
부부생활
기타
갤러리
페이스북
소개
인사말
목회철학
프로필
설교
묵상
새벽묵상
영상메시지
참회의 기도
설교요약클립
아티클
논문
설교문
에세이
컬럼
저서
강해
영적성장
부부생활
기타
갤러리
페이스북
KIMJICHUL ARCHIVE
태그검색
홈
태그검색
검색결과
태그검색
새창열기
큰 은혜를 받은 공동체
18-12-12
6,705
0
18-12-12
초대교회의 모습은 충격적이고 놀랍습니다. 성경에 하나님의 큰 은혜를 받은 초대 교회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이것은 매우 강렬한 언어로 충격적이고 놀랍습니다. 초대교회의 모습은 사도행전 2장과 4장에서 반복되어 기록되어 있습니다.‘한 마음과 한 뜻이 되었다.’‘물건을 서로 통용했다.’‘자기 재물을 자기의 것이라 주장하는 사람이 없었다.’‘가난한 사람이 없었다.’‘자기 밭과 자기 집을 팔아 사도에게 바쳤다.’‘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주었다.’ …
새창열기
새창열기
건강한 신앙공동체의 회복
18-12-12
5,171
0
18-12-12
하나의 공동체를 이룬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입니다 하나님께서 만드신 첫 번째 공동체는 가정입니다. 하나님은 가정을 만드시고 그 가정 속에 사랑의 신비를 심어주셨습니다. 하나님께서 남자만 만드셨을 때에는 보시기가 좋지 않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여자를 만드셨고 남자와 여자가 함께 있는 모습을 보시면서 보시기가 참으로 좋다고 하셨습니다. 이렇게 축복받은 공동체가 바로 가정공동체입니다. 그런데 이 소중한 가정이 오늘날 너무 쉽게 무너지고 있…
새창열기
새창열기
사랑 없는 지식? 지식 없는 사랑? - 교회, 배움의 공동체 2 -
18-12-12
9,366
0
18-12-12
기독교의 배움은 지식에 사랑을 더하는 배움입니다.우리 교회학교에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교회학교 선생님들과 교역자들이 자녀들을 사랑으로 양육하면서 ‘어떻게 하나님의 말씀을 더 깊이 있게 가르칠 수 있을까?’ 고민하며 몇 가지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이 시간 그 내용을 영상으로 시청하며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영상 시청>다음세대들과 눈높이를 맞추며 어린 자녀들이 성경 공부를 하는 데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를 준 것입…
새창열기
새창열기
바벨탑 : 이기적 사랑
18-12-12
11,035
0
18-12-12
누구나 성공하길 원합니다.지난 2월, 평창에서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이 개최한 첫 번째 동계올림픽입니다. ‘평창’이란 두 글자의 영어 이니셜 P와 C를 Passion, Connected로 전환해 ‘하나 된 열정’이란 슬로건도 내걸었습니다. 세계인들에게 풍성한 스포츠 잔치가 된 것을 우리도 보고 경험했습니다.올림픽 참가 선수들에게는 마음의 소원들이 있습니다. ‘더 빨리, 더 높이, 더 멀리’입니다. 스키나 스케이팅, 봅슬레이, 스켈…
새창열기
새창열기
우리는 주님의 움직이는 교회
18-12-12
15,394
0
18-12-12
우리는 주님의 몸 된 교회입니다.지난해 소망교회 창립 4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다시 새롭게, 다시 거룩하게”라는 표어를 통해 우리 자신의 모습도 돌아보았습니다. 또한 지난해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해였습니다. 우리가 새롭고 거룩하게 되는 비결은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회개’이며, 두 번째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입니다. 우리는 이 두 키워드를 기억하며 지난해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오늘 창립 41주년 주일을 맞이합니다. 이제 또 …
새창열기
새창열기
성탄, 하나님 자녀됨의 복
19-01-25
20,936
0
19-01-25
우리는 하나님의 자녀입니다.이틀 후면 성탄절입니다. 예수님은 왜 이 땅에 오셨을까요? 가장 비천한 자리,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땅으로 왜 내려오셨을까요? 동시에 왜 우리에게 성탄이 꼭 필요한 사건이 되었을까요? 이유는 오직 하나입니다.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자녀’ 된 우리의 신분을 알려 주시기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이 땅에 보내주신 것입니다. 요한복음 1장 12절을 함께 읽겠습니다.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새창열기
새창열기
베드로(5), 내가 주님을 사랑하나이다
19-01-25
16,875
0
19-01-25
부활하신 주님이 죄책감에 빠진 베드로를 찾아가십니다.오늘은 베드로에 대한 다섯 번째 말씀으로, 이번 주일로 베드로에 관한 말씀을 마치고자 합니다. 새벽녘 닭이 울 때마다 베드로는 주님을 배반한 기억 때문에 괴로웠을 것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그 기억은 좌절의 탄식만으로 멈춰 있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오히려 그를 새롭게 만드는 희망의 다짐으로 결단하는 계기가 되었음이 분명합니다. 왜 그렇게 생각할 수 있을까요? 스스로 죽음을 택한 가룟 유다와 베드…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 말씀의 공동체!
18-12-12
10,390
0
18-12-12
신앙의 원천인 성경으로 돌아가야 합니다.오늘 말씀의 제목은 ‘교회, 말씀의 공동체!’입니다. 올해로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합니다. 당시 종교개혁자들은 종교개혁의 의미와 방향을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라틴어 문구를 제시했습니다. 이 문구를 여러분께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아드 폰테스(ad fontes)’라는 라틴어가 있습니다. 아드(ad)는 전치사 to를 가리킵니다. 폰테스(fontes)는 fountains 또는 sources를 뜻합니다. …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 예배의 공동체!
18-12-12
9,484
0
18-12-12
자주독립을 외쳤던 삼일절을 회상합니다.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는 우리 민족의 항일독립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이 날을 기념한 삼일절도 이제 2년 후면 100주년을 맞이하게 됩니다. 3.1운동은 세계 역사 속에서도 흔치 않은 일입니다.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하는 대규모의 거국적인 저항운동이었습니다. 또한 광복과 해방을 향한 우리 민족의 염원이 깃든 독립운동이었습니다. 동시에 일본제국이 이 땅에 행했던 만행을 전 세계에 알리는 …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 기도의 공동체!
18-12-12
13,046
0
18-12-12
기도는 하나님께서 주신 선물입니다.오늘은 ‘교회, 기도의 공동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하려 합니다. 기도는 권리일까요, 의무일까요? 권리라고 생각하면 기도의 기쁨을 누려야 하는데, 그 기쁨을 누리지 못할 때가 참 많습니다. 또, 의무라고 생각하면 기도가 자꾸 부담으로 다가오는 것도 사실입니다.한 성도님이 이런 이야기를 하신 적이 있습니다. 교회 모임에 참석할 때마다 제일 겁나는 게 있는데, 갑자기 자신에게 기도를 시킬 때라고. 손사래를 치면…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 배움의 공동체!
18-12-12
10,267
0
18-12-12
우리는 평생 배움의 열정을 안고 살아갑니다.오늘은 ‘교회, 배움의 공동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합니다. 2015년 한 방송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설문 내용 중 ‘내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있었습니다. 남성들은 10대부터 50대까지 가장 후회되는 일이 ‘공부 좀 할 걸….’이었습니다. 60대 남성들은 ‘돈 좀 모을 걸….’ 하고 후회했습니다. 70대 남성들은 ‘아내 눈에 눈물 나게 한 것’이 가장 후회된다고…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교육] 지도자들을 위한 전문지 특집 교회와 가정 기독교적 가정공동체
18-12-04
13,834
0
18-12-04
교회교육 지도자들을 위한 전문지 특집 교회와 가정 기독교적 가정공동체
새창열기
새창열기
[성경연구] 하나님만을 기쁘시게 하는 삶
18-12-05
14,387
0
18-12-05
[성경연구]하나님만을 기쁘시게 하는 삶. 김지철. 1998년 11월
새창열기
새창열기
[교회와 신학] 복음의 진정성과 교회의 일치성
18-12-04
14,998
0
18-12-04
[교회와 신학]복음의 진정성과 교회의 일치성. 김지철.1996년 1월
새창열기
새창열기
[기독교사상] 누가 내 형제이며 내 자매인가
18-12-06
4,052
0
18-12-06
[기독교사상]누가 내 형제이며 내 자매인가.김지철.1995년5월
새창열기
1
2